분류 전체보기33 수질 시료의 채취 시료채취 방법 수동으로 시료를 채취할 경우에는 30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채취하여 일정량의 단일 시료로 한다. 단, 부득이한 사유로 6시간 이상 간격으로 채취한 시료는 각각 측정 분석한 후 산술 평균하여 측정분석 값을 산출한다. 수소이온농도(pH), 수온 등 현장에서 즉시 측정하여야 하는 항목인 경우에는 30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측정한 후 산술 평균하여 측정값을 산출한다. 복수 시료채취 방법 적용을 제외할 수 있는 경우: 환경오염사고 또는 취약시간 대 (일요일, 공휴일 및 평일 18:00 ~ 09:00 등)의 환경오염감시 등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경우 제외할 수 있다. 지하수 수질조사를 위한 시료채취: 지하수 침전물로부터 오염을 피하기 위하여 보존 전에 현장에서 여과(0.45㎛)하는 것을 권.. 2021. 9. 7. [기후변화] 빙하가 녹은 뒤 - 영국 가디언지 "지금 당장 모든 온실가스 배출을 중단한다고 하더라도, 현재 대기 중의 온실가스가 해양으로 흡수되기까지는 2만 5000년이 걸릴 것이다." 이산화탄소와 메탄이라는 온실가스가 열을 가둔다는 사실은 이미 수십 년 전에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온실가스 배출은 자연스러운 과정보다 10배나 빠르게 지구를 덥히고 있고, 이러한 결과는 지구 생물권 전반에 걸쳐 체감되고 있다. 약 300만 년 전의 플라이오세(Pliocene) 시대 이후로 지구의 대기에 지금처럼 이산화탄소가 많았던 적은 없다. 현재의 이산화탄소 중 4분의 3은 500년 후에도 남아 있을 것이다.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한 온실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려면 아직도 10년을 더 기다려야 한다. 지금 당장 모든 온실가스 배출을 중단한다고 하더라도, 현재 대기 중.. 2021. 9. 3. 7월 물산업 동향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 위험의 양적, 질적 변화가 임계치를 초과하여 예측 불가능한 리스크로 부상하였다. 글로벌 차원의 협력 및 기준 강화(신기후체제, TCFD* 등)가 필요하며, 친환경 프리미엄 부담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신종 수질오염물질 (CECs)의 증가 추세로 환경 위해성 검토하여 기술·정책 대응방안 필요하다. 대표적인 신종 수질오염물질로는 미세플라스틱, 잔류 의약물이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을 검토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 환경 위험의 양적, 질적 변화 -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가뭄 재해 - 코로나19 등 신종감염병 - 의약 잔류물의 수질 영향 - 후쿠시마 쓰나미 및 방사능 유출 ○ 친환경→ 필환경 신기후체제, B3W*, 기후변화 재무공시 등 글로벌 차원의 환경기준, 투자 강화 G7 TCFD 공.. 2021. 9. 1. [MKYU 기후변화전문가 과정] 11강 과제_우리나라 가축에게 바이러스 유행병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이유 본 강의 과제 주제 조류독감(AI)과 아프리카 돼지열병(ASF)의 원인은 철새와 멧돼지가 아닙니다. 우리나라 가축에게 바이러스 유행병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조류독감(AI) 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AI)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하여 발생하는 조류의 급성 전염병으로 닭․칠면조․오리 등 가금류에서 피해가 심하게 나타난다. 전파방법 조류인플루엔자는 주로 직접 접촉에 의해서 전파되며, 감염된 닭의 분변 1그램에는 십만 내지 백만 마리의 닭을 감염시킬 수 있는 고농도의 바이러스가 들어있다. 이러한 분변이 오염된 차량(특히 분뇨차량)이나 사람, 사료, 사양 관리기구 등을 통해 전염이 일어나며, 가까운 거리는 오염된 쥐 나 야생조류에 의하여도 전파될 수 있다. 계사 내.. 2021. 8. 27.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