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26 [MKYU 기후변화전문가 과정] 11강 과제_우리나라 가축에게 바이러스 유행병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이유 본 강의 과제 주제 조류독감(AI)과 아프리카 돼지열병(ASF)의 원인은 철새와 멧돼지가 아닙니다. 우리나라 가축에게 바이러스 유행병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조류독감(AI) 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AI)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하여 발생하는 조류의 급성 전염병으로 닭․칠면조․오리 등 가금류에서 피해가 심하게 나타난다. 전파방법 조류인플루엔자는 주로 직접 접촉에 의해서 전파되며, 감염된 닭의 분변 1그램에는 십만 내지 백만 마리의 닭을 감염시킬 수 있는 고농도의 바이러스가 들어있다. 이러한 분변이 오염된 차량(특히 분뇨차량)이나 사람, 사료, 사양 관리기구 등을 통해 전염이 일어나며, 가까운 거리는 오염된 쥐 나 야생조류에 의하여도 전파될 수 있다. 계사 내.. 2021. 8. 27. [MKYU 기후변화전문가 과정] 10강 과제_지구 온도 상승을 0.5도로 낮추는 합의의 효과는? 본 강의 과제 주제 2018년 IPCC 이희성 의장님의 리더십으로 이번 세기 동안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로 낮추기로 합의를 이끌어냈습니다. 0.5도로 낮추는 합의의 효과는 구체적으로 무엇일까요? 제48차 기후변화에 관란 정부 간 협의체(IPCC) 총회 (2018.10) 주요 내용 산업화가 진행된 이후 지구의 기온은 1℃ 정도 올라갔다. 산술적으로 10년마다 0.2도씩 올라갔지만 실제로는 기후변화가 가속화하면서 갈수록 상승세가 가팔라지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대로 지속된다면 2030~2052년에는 상승폭이 2℃가 넘을 것을 예상하여 파리협정보다 상승폭을 0.5℃로 낮춰 잡아 목표를 강화할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0.5℃ 를 낮춘 목표가 가지는 의미 평균 기온이 2℃ 올라간 것으로 한다면, 1.5℃에 비.. 2021. 8. 25. [MKYU 기후변화전문가 과정] 9강 과제_ 코로나19 바이러스 전염과정 2019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코로나바이러스(COVID-19)는 2021년 기준 현재에서도 치명적인 감염병을 일으키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다. 처음 자연숙주는 박쥐로 알려져 있으며 인간에게는 중간숙주인 천산갑에 의해 전염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천산갑은 중국인들이 보양식으로 소비되며, 당시 중국 우한의 수산시장에서 판매되던 천산갑에 의해서 전파력과 증상 모두 강력해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전파된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현대문명에서 치명적인 감염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RNA바이러스이며, 사람과 동물의 호흡기와 소화기계 감염을 유발한다. 사람에게는 일반적으로 경미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지만 치명적인 감염을 유발하기도 하며, 소와 돼지는 .. 2021. 8. 24. [MKYU 기후변화전문가 과정] 7강 과제_"오션클린업"의 최근활동조사 Boyan Slat(1994)이 2013년에 설립한 The Ocean Cleanup은 플라스틱 오염을 추출, 예방 및 차단하는 기술 개발을 목표로 네덜란드에 등록된 비영리 재단이다. Ocean Cleanup의 목표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정화 작업을 시작하여 해양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전 세계의 투쟁을 가속화하는 것이다. 이 단체는 Great Pacific Garbage Patch에서 플라스틱 오염을 대규모로 수동적이며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가능성에 대한 1년 간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성공적인 비영리 크라우드 펀딩 캠페인을 통해 160개국의 38,000명으로부터 2백만 달러 이상을 모금했다. 이렇게 모은 자금을 토대로 기계를 개발하였고, 쓰레기 수거를 직접 하며 성과를 내고 있다. 오션 클린업(Ocean .. 2021. 8. 23.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