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정시험기준

[수질] 온도 (Temperature)

by ㏇™㏂㏘℡® 2021. 8. 9.

 이 시험기준은 물의 온도를 수은 막대 온도계 또는 서미스터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며, 지표수, 지하수, 폐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a1

 

1. 개요

1.1 목적

이 시험기준은 물의 온도를 수은 막대 온도계 또는 서미스터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1.2 적용범위

이 시험기준은 지표수, 지하수, 폐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2. 용어정의

2.1 담금

온도 측정을 위해 대상 시료에 담그는 것으로 온담금과 76 mm 담금이 있다. 온담금이란 감온액 주의 최상부까지를 측정하는 대상 시료에 담그는 것을 말하며, 76 mm 담금이란 구상부 하단으로부터 76 mm까지를 측정 대상 시료에 담그는 것을 말한다.

2.2 담금선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 시료에 담그는 부분을 표시하는 선이다.

3. 분석기기 및 기구

3.1 유리제 수은 막대 온도계

KS B 5316 유리제 수은 막대 온도계(담금선붙이 50 또는 100 ) 또는 이에 동등한 유리제 수은 막대 온도계로서 최소 측정단위가 0.1 로 교정된 온도계를 사용한다.

3.2 서미스터 온도계

KS C 2710 직렬형 NTC 서미스터 온도계 또는 이에 동등한 온도계로 최소 측정단위는 0.1 로 교정된 온도계를 사용한다.

 

a2

 

4. 분석절차

4.1 유리제 수은 막대 온도계를 이용하는 경우

유리제 수은 막대 온도계를 측정하고자 하는 수중에 직접 담근 상태에서 일정 온도가 유지될 때까지 기다린 다음 온도계의 눈금을 읽는다.

4.2 서미스터 온도계를 이용하는 경우

서미스터 온도계의 측정부를 수중에 직접 담근 상태에서 일정 온도가 유지될 때까지 기다린 다음 온도계의 눈금을 읽는다.

[1] 수온은 수중의 용존산소량과 관계가 있다. 채수 때의 수온은 시험할 때의 수온과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채수 때 녹아 있던 성분 등이 수온의 변화에 따라 이화학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따라서 수온과 용존산소(DO)는 현장에서 즉시 측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5. 결과보고

측정 결과는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표기한다.

 

a3

 

6. 의견

위의 공정시험법은 주로 실험실에서 측정하였을 경우 참고하며, 보통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실험하는 경우 배양기 온도 측정 및 정도관리에 사용한 경우가 있었다.

주로 현장 항목 측정할 때 YSI, Troll 등 다항목 수질 계측기를 사용하여 수온, DO, 탁도, 전기전도도(EC), pH를 한 번에 측정하여 현장 시료채취기록부를 작성하면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