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3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40% 상향 '의결' 2050 탄소중립위원회는 18일 서울 노들섬에서 제2차 전체회의를 열고 국내 순배출량이 0이 되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안'과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40% 로 상향하는 내용을 담은 '2030 NDC 상향안'을 심의, 의결했다. 이날 회의에는 김부겸·윤순진 공동위원장 및 정부위원 18명, 민간위원 51명 등이 참석했다. 지역과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는 산업계·노동계·시민사회·청년·지자체 대상의 협의체를 구성하고, 탄소중립 시민회의 및 온라인 토론회를 통해 국민들의 의견을 듣는 등 총 20여 회가 넘는 회의를 열었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2050년 탄소중립이 실현되었을 때 우리나라의 미래상과 부문별 전 환내용을 전망하는 것으로 전환·산업 등 부.. 2021. 11. 7.
기후변화 적응정책 10년 (현주소 진단과 개선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기후변화 적응 현황과 성과를 다각도로 진단한 연구사례는 극히 미흡한 실정이나, 지난 약 10년간 추진되어 온 기후변화 적응정책 적응노력의 진척(progress), 갭(gap)을 진단하고 향후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실효성 강화를 위한 방안 모색 필요 ㅇ 우리나라는 ‘제1차 기후변화 적응대책(2011-2015), 제2차 기후변화 적응대책(2016-2020)’을 수립, 이행하며 각종 적응조치(adaptation measures)를 확대해왔으나 그간 적응노력의 성과를 포괄적으로 진단한 사례는 부재 ㅇ 기후변화 적응은 완화(mitigation)와 달리 정량적 수치로 측정할 수 있는 목표가 부재하여 그간의 성과평가가 어려운 특성을 가지나 적응에 대한 현황을 점검하고 적절성을 진단할 수 .. 2021. 10. 28.
탄소중립시대의 국제 질서 변화와 우리의 대응 개요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 기후변화 등으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면서 이를 해결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 발생이 빈번해지고, 이는 국내외 경제·사회 전반에 큰 위협으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발생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함으로써 경제·사회적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기상이변 등 환경 문제 대응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국제사회의 변화를 살펴보고, 한국의 대응 방안과 도전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탄소중립시대의 국제 질서 변화 국제사회는 기후변화 및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을 체결하였고, '97년 교토의정서 채택과 '15년 파리협정을 통해 신기후체제를 수립하였다. 신기후체제에.. 2021. 10. 27.
[먹는물] 시료의 (최대)보존기간 수질파트와 마찬가지로 '열'칸의 부족으로 시간과 항목을 기입하지 못 함. 세로: 시간 / 가로: 항목 즉시 pH, 냄새, 과망간산칼륨소비량(알칼리법), 잔류염소 24hr 일반세균, 녹농균, 여시니아 30hr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 대장균, 분원성연쇄상구균, 살모넬라, 쉬겔라, 아황산환원 혐기성 포자형성균 48hr 색도, 탁도, ABS, NO3-N 2day 과망간산칼륨소비량(산성법) 7day 증발잔류물 14day CN, 소독부산물, 휘발성유기화합물 28day 페놀류, 불소, NH3-N, Cl-, 황산이온, 브롬이온 40day 유기인계농약(다이아지논, 파라티온, 페니트로티온, 카바릴) 6month 경도, 중금속류 ※ 최대한 환경측정분석사 시험관련 항목 위주로 외우기 쉽게 정리하였음. 2021. 10. 10.